우리은행 가장 엄격…국민·신한은 신용대출 연소득까지만

가계대출 증가세와의 전쟁을 벌이고 있는 금융당국이 주택담보대출(주담대)에 이어 일반신용대출의 문턱까지 조이면서 신용점수가 900점이 넘는 고신용자들도 대출을 받기 힘들어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가계대출 증가세와의 전쟁을 벌이고 있는 금융당국이 주택담보대출(주담대)에 이어 일반신용대출의 문턱까지 조이면서 신용점수가 900점이 넘는 고신용자들도 대출을 받기 힘들어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가계대출 증가세와의 전쟁을 벌이고 있는 금융당국이 주택담보대출(주담대)에 이어 일반신용대출의 문턱까지 조이면서 신용점수가 900점이 넘는 고신용자들도 대출을 받기 힘들어지고 있다. 신용평가사 KCB(코리아크레딧뷰로) 점수를 기준으로 신용점수 3등급 차주들은 1금융권 신용대출 이용이 불가능하며 2등급도 일부는 대출을 받지 못하게 되면서 2금융권으로 대출 수요가 몰리는 '풍선효과'에 대한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

10일 은행연합회·여신금융협회 등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 3사(카카오·케이·토스뱅크)의 일반신용대출(신규취급액 기준) 평균 취급 신용점수는 912.6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말(904.1점)보다 8.5점 더 높아진 수치다. 인터넷전문은행 3사를 제외한 5대 시중은행 기준 일반신용대출 평균 취급 신용점수는 926.4점에 달했다.

은행별로는 우리은행이 93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토스뱅크(937점), 하나은행(930점), 카카오뱅크(925점), 농협은행(924점), 신한은행(922점), 국민은행(918점) 등이 뒤를 이었으며 케이뱅크는 807점으로 가장 낮았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평균 신용점수가 가장 낮은 이유는) 7월 취급한 대출에서 중·저신용자 대출을 확대한 부분이 컸다"고 말했다. 

은행연합회가 신용점수 기준으로 사용하는 KCB 점수를 등급별로 살펴보면 942점~1000점(1등급), 891점~941점(2등급), 832점~890점(3등급), 768점~831점(4등급), 698점~767점(5등급), 630점~697점(6등급), 530점~629점(7등급), 454점~529점(8등급), 335점~453점(9등급), 0점~334점(10등급)으로 구분돼 있다. 5대 시중은행 평균 신용점수(926.4점)로는 3등급은 신용대출 이용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2등급도 일부는 떨어지는 셈이다. 인터넷전문은행 3사를 포함한 점수(912.6점)도 마찬가지다.

'신용점수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이유는 가계부채와의 전면전을 선언하고 대출 문턱을 높이라고 은행권을 압박하는 금융당국의 행보 때문이다. 현재 시중은행들은 신용대출 한도를 연소득의 150% 수준으로 적용하고 있는데 당국은 이를 100% 이내로 줄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앞서 3년 전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투자)·빚투(빚으로 투자) '광풍' 당시 정부는 행정지도를 통해 신용대출 한도를 연소득 내로 축소한 바 있다. 이미 국민은행은 전날부터, 신한은행은 이날부터 신용대출을 최대 연소득까지만 내주기로 했다.

또한 이른바 '불황형 대출'이라고 불리는 카드론 잔액이 사상 최고를 갈아치우면서 당국은 카드론까지 틀어막는 방안까지 살피고 있다. 지난 7월 기준 카드사 9곳(신한·삼성·현대·KB국민·롯데·하나·우리·비씨·NH농협카드)의 카드론 잔액은 41조2266억원으로 역대 최대치(40조6059억원)를 경신했던 6월 기록을 한 달 만에 갈아치웠다.

당국은 영끌을 위한 수요가 감지된다면 카드론 한도 축소까지 나설 수 있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3년 전 영끌·빚투 당시 카드론까지 끌어다 쓰는 과열 현상이 감지된 바 있는데 그때의 실수를 다시 되풀이 하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로 풀이된다.

은행들이 금융당국의 압박에 가계대출 억제 조처를 강화하면서 2금융권으로의 풍선효과는 이미 일부 감지되고 있다. 지난달 말 2금융권 가계대출은 2022년 10월(4000억원) 이후 1년 10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금융당국의 강력한 대출 규제에 가계대출 증가세는 장기간 둔화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DB금융투자 정광명 연구원은 "2006년 가파르게 증가하던 가계대출은 2007년부터 증가세가 크게 둔화됐는데 이는 2006년 11월 노무현 정부의 부동산 시장 안정화 방안에 따라 투기지역 아파트 담보대출 LTV(주택담보대출비율) 규제 강화 및 DTI(총부채상환비율) 규제가 확대됐고 동시에 수도권 전역 주담대에 대해 사실상의 창구 지도가 이뤄졌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은행들이 각자 다른 방식으로 대출한도 축소를 진행하고 있어 과거의 사례와 차이는 있으나 강력한 가계대출 괸리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당 기간 가계대출 증가세는 둔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